반응형

전체 글 172

[sendRedirect 사용하기] - Head Frist Servlet & Jsp

안녕하세요 오늘은 servlet에서 요청을 보내는 두 가지 방법은 sendRedirect와 forward 방식 중 sendRedirect을 알아보겠습니다. 1. sendRedirect - sendRedirect 어떠한 경우에 사용하나요? 쉽게 말하자면 단순히 url의 방향만 바꾸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흔히 사용하는 포털사이트에 접속하면 가장 먼저 메인화면이 호출됩니다. 메인화면에서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해야겠죠? 단순히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값을 가져오거나 사용자가 보내온 요청을 가공할 일은 거의 없습니다. 단순히 화면만 옮겨 주면 됩니다. 이러한 경우 sendRedirect 사용하여 보내 줍니다. JSP 화면에 버튼을 하나 만들어줍니다...

Servlet & Jsp 2020.12.21

[Selvet HttpResponse 사용하기] - Head Frist Servlet & Jsp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받은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낼 수 있는 response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젝트 생성 및 기타 작업은 이전 글인 HttpRequest 사용하기 글을 참고해 주세요 itmoon.tistory.com/12?category=947723 [Servlet의 HttpRequest 사용하기] - Head Frist Servlet & Jsp 이번 글에서는 컨테이너에서 서블릿으로 넘겨준 요청 값인 HttpRequest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Project 생성 체크박스는 체크하면 배포 서술자인(DD) web.xml를 프로젝트 내부에 itmoon.tistory.com 먼저 index.jsp 파일을 위 코드와 같이 만들어 줍니다. protecte..

Servlet & Jsp 2020.12.21

[Servlet의 HttpRequest 사용하기] - Head Frist Servlet & Jsp

이번 글에서는 컨테이너에서 서블릿으로 넘겨준 요청 값인 HttpRequest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Project 생성 체크박스는 체크하면 배포 서술자인(DD) web.xml를 프로젝트 내부에 만들어 줍니다. 사과 사과씨앗 오렌지 index.jsp 를 열어서 위처럼 코딩해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볼 점은 태그 안에 action 속성과 method 속성입니다. 먼저 action 속성은 어느 서블릿으로 보낼지 지정해 주는 속성 임으로 보낼 서블릿의 맵핑명을 작성해 줍니다. method 속성은 http 메소드중 Get / Post 어느 방식으로 보낼 건지를 정하는 것이며 method 속성을 생략하게 되면 defalute 값으로 Get방식으로 요청을 보냅니다. 우리는 값을 보내기 위..

Servlet & Jsp 2020.12.21

코틀린(Kotlin) 변수와 상수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코틀린의 변수와 상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변수 var 변수(variable)란 값을 임시로 메모리(저장 공간) 에 저장하고 그 저장 공간에 이름을 부여한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메모리라는 상자 안에 값을 담아두고 상자에 이름표를 붙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코틀린(Kotlin)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앞에 var를 붙여서 서언 합니다. var name = "사과씨앗" Java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DataType을 같이 선언해 주어야 하지만 코틀린에서는 DataType을 선언하여 주지 않아도 값에 맞춰 설정하여 줍니다. 하지만 반드시 DataType을 선언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var number:Int number = 10 위 코드처럼 값을 입력하..

KOTLIN 2020.12.21

코틀린(Kotlin) 로그(Log) 사용법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log를 사용하는 방법과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1. Log 출력하기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Log.d("BasicSyntax","로그를 출력 합니다. method = Log.d") } Log를 import 시켜준 뒤 위 코드처럼 Log.d(debug)에 인자를 넣어 줍니다. 첫 번째 인자는 로그를 검색하기 위한 태그이고 두 번째 인자는 로그의 내용을 입력하여 주면 됩니다. 작성한 뒤 실행시켜 줍니다. 2. Log 종류 - Log.v() = verbose를 의..

KOTLIN 2020.12.20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프로젝트 생성 & 앱 실행

이번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간단하게 프로젝트 생성 및 앱을 실행시켜 보겠습니다. 1. 프로젝트 생성하기 위 화면에서 버튼 하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왼쪽 palette 메뉴를 보시면 다양한 component들이 있는데 그중 Button을 드래그 하여 화면에 올려놓겠습니다. 그 후 오른쪽 Constraint Wodget을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각각 연결하여 버튼의 위치를 잡아 줍니다. 오른쪽 메뉴 가장 위쪽에 아이디를 확인하고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간단하게 프로젝트 생성 및 앱 실행을 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KOTLIN 2020.12.20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애뮬레이터(AVD) 설정하기

이번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개발할 때 필요한 가상 핸드폰 AVD(Android Virtual Device) 을 사용하는 방법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1. SDK 설정하기 SDK 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편집을 편하게 해주는 도구일 뿐 실제 컴파일러나 개발 환경은 모두 SDK 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위 화면에서 보이는 첫 번째 탭인 SDK Platforms는 소스 코드를 빌드할 때 사용되는 플랫폼이 안드로이드 버전별로 표시되어있습니다. 컴퓨터에 설치된 플랫폼은 status에서 Installed라고 표시되어 있고 그렇지 않은 플랫폼은 Not Installed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두번째 탭인 SDK Tools는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여 ..

KOTLIN 2020.12.20

[Servlet & 컨테이너] - Head Frist Servlet & Jsp

이전 글에서는 Servlet이 웹 통신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간략하게 서술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ervlet을 관리하여 주는 컨테이너를 알아보겠습니다. (대표적인 컨테이너는 톰캣이 있다.) 1. 컨테이너의 역할 웹 서버는 받은 요청을 곧바로 Servlet으로 보내는 것이 아닌 컨테이너로 보낸 후 컨테이너는 Servlet 이 필요로 하는 HttpServletRequest , HttpSerlvetResponse 객체를 생성하여 넘겨주고 받은 요청에 받게 doGet() , doPost() 메소드를 실행시켜 줍니다. - 통신지원 컨테이너는 웹 서버와 Servlet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쉬운 방법들을 제공합니다. 개발자가 직접 ServerSocket을 만들어 특정 포트에 리스닝을 하는 등 이러한 과정들을..

Servlet & Jsp 2020.12.19

[웹의 기본개념과 Servlet의 역할] - Head Frist Servlet & Jsp

Head First Servlet & Jsp라는 책을 공부하며 복습할 겸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하겠습니다. 1. 웹 이란? Servlet을 알아보기 전 웹 서버 & 웹 클라이언트가 어떤 것인지 정리하겠습니다. 서버란 간략하게 정리하면 물리적인 하드웨어 또는 서버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전체를 말합니다. 웹 서버의 역할은 웹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을 받아, 받은 요청에 대한 결과를 웹 클라이언트에게 다시 전달해 주는 것이 웹 서버의 역할입니다. 웹 클라이언트 ---> 요청 ---> 웹서버 ---> 결과 ---> 웹 클라이언트 웹 클라이언트란 사용자라는 사람을 뜻하기도 하고, 브라우저라는 응용프로그램을 뜻하기도 합니다. 두 개다 해당되는 의미 이기도 하죠. 브라우저는 서버랑 통신하는 넷스케이프(Netscape..

Servlet & Jsp 2020.12.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