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72

[ Spring-Boot ] Mybatis DB 커넥션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Mybatis를 사용하기 위해 DB 커넥션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아래 디펜던시가 있는지 확인하여 줍시다! ( Boot 프로젝트 생성 시 넣어주면 들어 있습니다. ) org.mybatis.spring.boot mybatis-spring-boot-starter 2.1.4 그다음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아래와 같이 작성하여 줍시다. ( 작성자는 mariaDB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본인에 환경에 맞게 구성해 주세요 ^^ )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 = org.mariadb.jdbc.Driver spring.datasource.jdbc-url= jdbc:mariadb://localhost:3306/example spri..

[ Spring-Boot ] @ControllerAdice 사용하여 예외처리 하기 2편

이전 글에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예외 처리 시 throw를 이용하여 전달해 줄 객체를 만들어 주겠습니다. 먼저 AbstractBaseException 추상 클래스를 만들어 줍시다. //예외처리를 하기 위해 RuntimeException 을 상속받아 줍니다. public abstract class AbstractBase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8342235231880246631L; //만들어둔 예외 코드사용을 위해 선언 protected BaseResponseCode responseCode; //message 에 사용할 매개변수를 담을 배열 선언 protected Object[] ar..

[ Spring-Boot ] @ControllerAdice 사용하여 예외처리 하기 1편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ControllerAdice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ControllerAdice 란? 간단하게 말하자면 @Controller에서 발생하는 예외를 잡아서 처리해주는 annotation입니다. @ControllerAdice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앞서 메시지 , 클래스 등등 만들어 주겠습니다. 먼저 응답을 보낼 코드와 메시지를 세팅하기 위해 BaseResponse , BaseResponseCode 클래스를 만들어 주겠습니다. BaseResponseCode 클래스는 enum 클래스로 생성하여 사용 사용하겠습니다. public enum BaseResponseCode { VALIDATE_REQUIRED, // 필수값 체크 ; } BaseResponse 클래스를 만들어 BaseRespons..

카테고리 없음 2021.05.19

[ Spring-Boot ] Swagger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Swagger를 사용하여 보겠습니다. Swagger란? 간단하게 정리하면 API스펙 문서 또는 개발자에게 필요한 documentation Page입니다. 사용방법에 앞서 먼저 보여드리자면 이런 식으로 서버를 실행시킨 다음 http://localhost:8080/swagger-ui.html( IP와 PORT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접속하게 되면 서버의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Swagger를 사용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추가하겠습니다. 아래 코드를 입력 한 다음 빌드하여 줍시다. Maven io.springfox springfox-swagger2 2.9.2 io.springfox springfox-swagger-ui 2.9.2 Gradle // https://mvnre..

[ Spring-Boot ] Scheduler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Boot에서 Scheduler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스케줄링은 특정 기간을 지정하여 원하는 작업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스입니다. Spring Boot에서 스케쥴러를 사용하기 위해서 SpringApplication에 @EnableScheduling 선언하여 줍니다. @SpringBootApplication @EnableScheduling // 스케줄러 사용을 위해 선언 public class SongJavaSpring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SongJavaSpringApplication.class, args); } } 그다음 스케줄링 작업을 진행할 클래스를 만들어 줍시다. ..

[ AWS ] Elastic IP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사용할 Elastic I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Elastic IP를 사용하는 이유를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자신의 AWS 콘솔에서 EC2 인스턴스를 중지하였다가 다시 기동 시키면 IP가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중지 ] [ 실행 ] 위 화면처럼 ip 주소가 변경됩니다. 이처럼 IP가 변경되는 이유는 IP고갈 현상에 대해서 알아보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를 사용하면서 이처럼 매번 IP주소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Elastic IP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좌측 메뉴에서 [ 탄력적 IP ] 메뉴를 클릭하여 줍시다. 그다음 우측 상단의 탄력적 IP 주소 할당 버튼 클릭 따로 설정할 것은 없으니 기..

AWS 2021.05.03

[ AWS ] EC2 AMI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AMI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AMI 란 Amazon Machine Image의 약자로 간단히 정리하자면 해당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설정, 정보, 프로그램 등등을 그대로 얼려서 따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AMIs.html Amazon 머신 이미지(AMI)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Amazon 머신 이미지(AMI) Amazon 머신 이미지(AMI)는 인스턴스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AMI를 지정해야 합니다. 동일한 구성의 인스턴스가 여러 개 필요할 때는 docs..

AWS 2021.04.30

[ AWS ] EC2 인스턴스 Xshell 로 접속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 다음 그 인스턴스를 Xshell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필자는 우분투를 사용하여 인스턴스를 만들어 접속해보겠습니다. 인스턴스 생성 시 우분투를 선택하여 생성해 줍시다.( 생성 과정은 생략하겠습니다.) 생성이 완료되면 인스턴스 정보에 아래와 같이 접속할 수 있는 퍼블릭 IP4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아이피는 Xshell로 접속할 때 사용하겠습니다. ( 필자의 IP는 가리겠습니다..ㅎㅎ ) Xshell를 실행시켜준 다음 왼쪽 상단의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여 줍시다. 그다음 왼쪽 메뉴 중 [ 연결 ] 메뉴를 클릭하여 줍시다. 연결 정보를 입력란이 나오면 이름은 원하는 대로 지정하여 주시고 호스트 입력란에 좀 전에 확인하였던 퍼블릭..

AWS 2021.04.28

[ AWS ] S3 버킷생성 후 파일 업로드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S3( Simple Storage Service )에서 버킷을 생성하여 보겠습니다. 시작하기 앞서서 간단하게 S3란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이며 EC2 가 컴퓨터를 하나 빌려주는 것이라면 S3는 저장소만 빌려주는 파일서버라고 정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AWS 콘솔 -> 서비스 -> 스토리지 -> S3를 클릭하여 줍시다. 그다음 오른쪽에 버킷 만들기 버튼을 클릭 버킷 이름과 AWS 리전을 선택하여 줍시다. 액세스 설정 같은 경우 나 자신만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려면 4개를 다 체크하여 주시면 되고 다른 사람과 공유가 필요하다면 아래 두 개만 체크하여 주면 됩니다. 암호화나 버전 관리 등은 필요 여부에 따라 활성화시켜주시고 아래 버킷 만들기 버튼을..

AWS 2021.04.26

[ AWS ] EC2 원격제어 하기

이번 글에서는 생성한 EC2 인스턴스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인스턴스 생성이 안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itmoon.tistory.com/55 [ AWS ] 가입 및 EC2 인스턴스 생성 이번 글에서는 AWS 홈페이지 가입 후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보겠습니다. 먼저 AWS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줍니다. aws.amazon.com/ko/?nc2=h_lg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itmoon.tistory.com 생선 한 인스턴스를 우클릭 후 연결을 클릭하여 줍시다. 그다음 원격 데스크톱 파일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원격 접속을 위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줍시다. 클릭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파일이 생성됩니다. 그다음 암..

AWS 2021.04.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