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Kotlin) 로그(Log) 사용법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log를 사용하는 방법과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1. Log 출력하기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Log.d("BasicSyntax","로그를 출력 합니다. method = Log.d")
}
Log를 import 시켜준 뒤 위 코드처럼 Log.d(debug)에 인자를 넣어 줍니다.
첫 번째 인자는 로그를 검색하기 위한 태그이고 두 번째 인자는 로그의 내용을 입력하여 주면 됩니다.
작성한 뒤 실행시켜 줍니다.
2. Log 종류
- Log.v() = verbose를 의미하며 상세한 로그 내용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Log.d() = debug를 의미하며 개발에 필요한 내용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합니다(개발자용).
- Log.i() = information을 의미하며 정보성의 일반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Log.w() = warming을 의미하며 에러는 아니지만 경고성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Log.e() = error를 의미하며 실제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Log의 출력방법과 종류를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